국사/고려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고려 일연 삼국유사는 어떤 역사책?

윤여시 2020. 1. 11. 20:26
반응형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고려 일연 삼국유사는 어떤 역사책? 

역사시간이면 으레 암기해야 하는 고려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스님의 삼국유사, 크게 정사와 야사라는 타이틀로 이 두권의 책을 분류하고 있고 그에 따른 특이점을 외워야 하기에 필요한 특징만 외우고 있지만 일연의 삼국유사는 나름의 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삼국유사는 어떤 책일까?

 

|삼국유사를 지은 일연은 누구?

일연은 김언정의 아들로 1206년 경상도 경산에서 태어났으며 1214년 지금의 광주 지방인 무량사에 가서 학문을 닦고 1219년 13살의 나이로 설악산 진전사로 출가하여 스승 대웅의 제자가 되었다. 그 뒤 여러곳에서 수련하여 구산문 사선의 으뜸이 된다. 

 

1227년에는 승과의 선불장에 응시하여 장원인 상상과에 급제하고 비슬산 보당암에 거처하면서 수년 동안 참선과 수행정진에 몰두하였다. 1236년에 여몽전쟁이 한창일 때 조정으로부터 삼중대사의 승계를 받고 1246년에는 선사에 올랐다. 

 

1249년에는 남해의 정림사로 자리를 옮겨 대장경 주조작업에 참여하고 1256년 여름에 길상암에서 중편조동오위 2건을 짓고 1259년에는 대선사의 승계를 제수 받았다. 1261년에는 원종의 부름으로 강화도로 가 선월사에 머무르면서 설법을 행하고 지눌의 법을 계승하였다. 

 

충렬왕 즉위 이후 삼국유사를 집필하기 시작하였는데 1277년 집필을 시작하여 1281년쯤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의 구성

삼국유사는 총 5권 2책으로 집필 되었다. 권에 상관 없이 왕력, 기이, 홍법, 탑상, 의해, 신주, 감통, 피은, 효선 9편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9편의 특징은 이러하다.

 

왕력 - 삼국, 가락국, 후고구려, 후백제 등의 간략한 연표 

기이 - 고조선으로부터 후삼국까지의 단편적인 역사를 57항목으로 서술하였으며 1,2권 서두에 이 편의 설정 이유와 서문이 붙어 있음

흥법 - 삼국의 불교수용과 그 융성에 관한 6항목

탑상 - 탑과 불상에 관한 사실 31항목

의해 - 원광서학조를 비롯한 신라의 고승들에 대한 전기를 중심으로 하는 14항목

신주 - 신라의 밀교 승려들에 관한 3항목

감통 - 신앙의 영적인 명과 감응에 대한 10항목

피은 - 속세를 초탈한 인물에 대한 행적 10항목 

효선 - 부모에 대한 효도와 불교적인 선행에 대한 미담 5항목

|삼국유사의 의의

5권 9편 144항목으로 이루어진 삼국유사의 체제는 그 어떤 역사책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기 때문에 자칫 설화집이나 민담집 정도로 이해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형식의 차이가 있을 뿐 일연은 이책을 분명 역사서로 기록하고 있다.

 

일연이 청년시절 사료를 모아 70대에 완성한 이 책은 1289년 일연이 84세의 일기로 죽은 뒤, 제자 무극에 의해 1310년 목판본으로 처음 간행되었다.

 

하지만 삼국유사는 그 내용으로 인해 고려시대에 주목 받지 못하다가 조선시대에 넘어와서 동국여지승람,동사강목에서 언급되고 있다. 물론 이 책들 역시 삼국유사의 기록이 허황되고 믿지 못할 책으로 못받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편찬을 계속해오면서 우리나라의 고대사를 기록한 존귀한 가치를 지닌 책으로 인정 받고 있다. 

 

또한 삼국유사를 집필 할 때 인용된 역사, 불교, 설화 등에 관한 서적과 문집류, 기록 문헌 등은 지금 전하지 않는 것들이라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여기서 언급된 '단군 이야기'를 비롯한 고구려, 백제, 신라 건국 이야기는 후대 사학자들의 역사 이해와 많은 영향을 끼친다. 

 

또한 14수의 향가 역시 한국 고대문화 연구의 보석 같은 자료이며 시간이 흐를수록 한국 고대의 역사, 지리, 문화, 종교, 언어, 민속, 사상, 미술, 고고학 등 모든 부분의 열쇠를 제공하는 총체적 문화 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삼국유사 일연, 그는 몽골의 침입과 잇따른 고려 조정의 흔들림을 보면서 우리 민족이 우리 역사를 통해 자부심을 갖고 고난과 역경을 벗어나길 원했다. 그리고 그의 마음은 지금 우리에게 이어져 대한민국이라는 5천년 역사를 가진 위대한 나라에 대한 자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