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16

큰 뜻을 위해 치욕을 참다 사자성어 과하지욕 유래 뜻 실제 사용 사례

큰 뜻을 위해 치욕을 참다 사자성어 과하지욕 유래 뜻 실제 사용 사례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수없이 자존심을 굽혀야 할 일들이 찾아오는데, 이를 참는 것은 내가 이루어야 할 더 큰 것과 꿈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기 자존심을 굽히는 것을 넘어 씻을 수 없는 치욕을 큰 꿈을 위해 참아낸데서 유래된 사자성어가 있다. 바로 과하지욕이다. 과하지욕 유래 뜻에 대하여 알아보자 1. 과하지욕 유래와 뜻 과하지욕을 뜻 그대로 해석하자면 '가랑이 아래를 지나가는 모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생각해보라 누군가 나에게 자신의 가랑이 밑을 기어 들어가라고 하면 그 치욕이 얼마나 대단하겠는가? 하지만 과하지욕의 더 중요한 의미는 '큰 뜻을 품은 사람은 작은 부끄러움은 감수한다'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과하지욕은 ..

언어의 어원 2024.04.15

견훤 사위에서 고려의 장인으로 순천 박씨 시조 후백제 박영규 그는 누구인가?

견훤 사위에서 고려의 장인으로 순천 박씨 시조 후백제 박영규 그는 누구인가? 동서의 역사를 볼 때, 멸망 당한 왕조에서 살아남은 왕실의 가족들은 비참한 최후를 맞거나 이름 없이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여기 후백제가 멸망했음에도 후백제 왕실의 딸과 사위가 다시 새로운 왕조 고려 왕의 장인어른이 된 사례가 있다. 바로 순천박씨 시조 후백제 박영규이다. 그는 과연 누구일까? 1. 박영규는 순천의 대표 호족? 지금의 순천 여수 지역의 옛 이름인 승평군의 호족이었던 박영규는 당시 순천 여수의 위치가 해상 무역의 중요 거점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이를 통해 많은 부를 축적한 인물이었다. 이러한 기반을 통해 급속도로 성장한 그는 지금의 순천 해룡산성을 보수 증축하고 이를 기점으로 지역을 장악한 인물이었다. ..

국사/고려 2024.04.12

좋은 약은 입에 쓰다 사자성어 양악고구 유래 뜻 사용 예시

좋은 약은 입에 쓰다 사자성어 양악고구 유래 뜻 사용 예시 우리의 몸에 좋은 약이나 음식은 쓴법이다. 이는 진리이다. 우리가 이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있다. 바로 '양악고구'이다. 그래서 오늘은 양악고구 유래 뜻 사용 예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가 인생을 살아갈 때도 몸이 편하고 즐겁고 달콤한 것은 우리의 인생을 발전시키지 못한다. 우리가 쓴 약이나 음식처럼 땀을 흘리며 때론 고통스러워하며 미래를 준비할 때 우리 몸의 건강을 챙기는 약이나 음식처럼 발전할 수 있다. 1. 양악고구 유래와 뜻 양악고구는 말 그대로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만큼 우리의 건강이나 인생에 있어 좋은 것은 달고 좋은 것은 없다는 것으로 진리에 가까운 말이다. 양악고구는 良 : 좋을 양, 藥 : 약 ..

언어의 어원 2024.04.06

태조 왕건의 승리를 도운 전의 이씨 시조 이도(이치) 장군 그는 누구인가?

태조 왕건의 승리를 도운 전의 이씨 시조 이도(이치) 장군 그는 누구인가? 우리나라에서 이씨를 성으로 하는 본관 중에 6번째로 많은 전의 이씨는 고려 태조 왕건의 장수 중 한명이었던 이도(이치) 장군이 시조 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왕건의 남쪽 원정 중 공을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이를 운주전투라고 표현하고 있지만 역사에서 기록은 알 수 없다. 전의 이씨 시조 이도 장군 그는 누구일까? 1. 지금의 세종시 전의면의 호족 '이도' 왕건을 돕다 충청도 공주목 전의현(지금의 세종시 전의면)에서 태어난 이도 장군의 본래 이름은 치로 '이치' 이다. 그가 역사에 등장한 것은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을 치고자 남쪽으로 진군할 때, 금강에 다다랐는데 마침 비가 쏟아지며 금강에..

국사/고려 2024.04.02

제갈량이었나? 태조 왕건의 목숨을 구한 책사 고려 최응 그는 누구인가?

제갈량이었나? 태조 왕건의 목숨을 구한 책사 고려 최응 그는 누구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레전드 사극을 뽑으라면 아마 대부분이 태조 왕건을 뽑을 것이다. 그리고 이 태조 왕건에서 나온 수많은 영웅들 중에서도 책사로서 지략과 내치를 두루 겸비한 대표적인 인물을 뽑으라면 바로 왕건의 목숨을 구한 최응을 뽑을 것이다. 최응 그는 고려사에서 어떠한 인물이었고, 실제 역사에서 어떤 삶을 살았을까? 1. 고려 최응의 출생 - 천재가 태어나다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최응은 거의 신에 가까운 예지력과 책략을 가지고 있는 인물이다 실제로도 그러했을까? 고려 최응의 출생은 다른 사람들과는 달랐다. 고려 대부분의 이름 있다 하는 신하들도 언제 태어났는지 알 수 없는데 최응은 드물게 태어날 때부터 역사에 기록된 ..

국사/고려 2024.03.30

이를 갈며 마음을 썩여 고민하다! 사자성어 절치부심 뜻유래 사용사례

이를 갈며 마음을 썩여 고민하다! 사자성어 절치부심 유래 뜻 사용사례 삶을 살다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선택의 기로나 또는 내 인생의 중요한 결정의 순간에서 고민의 늪에 빠지기 마련이다. 이때 사용할만한 사자성어로 절치부심하다, 절치부심중이다 라는 사자성어를 쓰곤 하는데, 실제 그 뜻은 이를 갈며 마음을 썩이며 자신이 몰린 수세를 벗어나고자 치열하게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사자성어 절치부심 뜻과 유래는 무엇일까? 1. 절치부심 뜻과 유래 절치부심을 그대로 풀어쓰면 이를 갈며 마음을 썩이다라는 뜻이다. 그만큼 누군가 절박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이를 갈고 마음이 푹 썩을 정도로 변하기 마련이다. 절치부심은 切 : 갈 절, 齒 : 이 치, 腐 : 썩을 부, 心 : 마음 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유래를 알면 절치부..

언어의 어원 2024.03.27

명량에서 노량까지, 임진왜란 숨은 명장 안위 장군 그는 누구인가?

명량에서 노량까지, 임진왜란 숨은 명장 안위 장군 그는 누구인가? 임진왜란 구국의 영웅 이순신 장군에게는 그와 함께 목숨을 바쳐 싸운 명장들과 조선의 군대가 있었다. 그중에서도 안위 장군은 이순신 장군과 함께 명량부터 노량까지 큰 공을 세운 장수이자 이후 병자호란이 일어나는 인조때까지 나라를 지키려 노력했던 장군이다. 안위 그는 과연 누구일까? 1. 역모의 집안으로 유배를 가야 했던 '안위 장군' 1563년, 지금의 전라도 김제에서 안위 장군은 3남 1녀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렸을 적 이야기는 전해지지 않으나 그의 나이가 26살 되던 1589년, 5촌 사이의 친척이었던 정여립이 난을 일으키며 안위는 갑작스럽게 지금의 평안도로 유배 된다. 다행히 당시 역모죄가 삼족을 멸하는 죄임에도, 처형은 면했지..

국사/조선 2024.03.23

약속과 신의에 관련된 사자성어 이목지신 유래 뜻 실생활 사용

약속과 신의에 관련된 사자성어 이목지신 유래 뜻 실생활 사용 예나 지금이나 약속과 신의를 잘 지키는 것에 대한 존경이 있기에 이와 관련된 사자성어가 많다. 그 중에서도 약속은 반드시 지키고, 이를 통해 본보기를 보여 어떤 한 집단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유래를 가진 사자성어가 있다. 바로 사자성어 이목지신이다. 이목지신을 알기 위해서는 중국의 전국시대로 돌아가야 한다. 1. 이목지신 유래와 뜻 이목지신을 그대로 직역하면 '나무를 옮기는 믿음'이라는 뜻이다. 직역하면 나무를 옮기는 것과 믿음이 무슨 상관이지? 라는 의문이 들기 때문에 그만큼 유래를 아는 것이 중요한 사자성어이다. 이목지신은 移 : 옮길 이 木 : 나무 목 之 : 어조사 지 信 : 믿을 신로 구성되어 있다. - 진나라 '상앙'의 꾀는 무엇이었나..

언어의 어원 2024.03.21

암살 염석진 실존 인물? 백의사 염동진은 과연 밀정인가?

암살 염석진 실존 인물? 백의사 염동진은 과연 밀정인가?천만 영화 의 빌런으로 배우 이정재가 역할을 맡은 염석진.. 그는 우리가 드라마 에서 우익으로 활동하며 김두환과 함께 공산당에 맞서 싸우는 인물로 묘사된 염동진에서 따온 인물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 염동진이 암살에서 등장하듯 나라를 배신한 밀정이라고 평가를 받는데 과연 사실일까? 염동진은 누구일까? 1. 염동진의 출생과 독립운동- 출생과 성장염동진의 일생을 알기 위해서는 그 출생부터 하나하나 살펴보고 어떻게 독립운동으로 투신하게 되었는지 등을 살펴 보는 것이 좋다. 염동진은 1909년 2월 지금의 황해북도에서 태어난 인물이다. 어렸을적 본명은 염응택이며, 고향에서 보통학교와 상업학교를 다녔다. 이후 파주에 잠시 내려와 있다가 1934년 그의 나이 2..

국사/현대 2024.03.16

먹지도 못하고 바쁘게 일하다! 사자성어 식소사번 유래 뜻 예문

먹지도 못하고 바쁘게 일하다! 사자성어 식소사번 유래 뜻 예문 현대인들은 정말 바쁘게 산다. 끼니도 거르고 잠도 줄이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러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자성어가 있다. 놀랍게도 삼국지에서 유래된 사자성어로 그 뜻도 정확히 밥 먹을 시간도 없이 일만 하는 것을 뜻한다. 삼국지 제갈량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식소사번 무슨 뜻일까? 1. 식소사번 유래와 뜻 식소사번을 직역하면 먹는 것은 적은데 할일은 많다라는 뜻으로 바꿔 말하면 자신의 건강은 돌보지 않은채 일에 열중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식소사번은 食 : 먹을 식, 少 : 적을 소, 事 : 일 사, 煩 : 번거로울 번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이 식소사번은 제갈량과 사마의의 일화에서 나온 말이다. 그 유래를 알아보자 - 사마의가 지적한 제갈량의 식소사번 ..

언어의 어원 2024.03.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