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옛날 여자의 몸으로 한 나라를 세우기도 어려운 시대에, 무려 두 나라를 잉태한 여인이 있었다. 바로 고구려의 창업자인 주몽 뒤에 숨겨진 여인이자 백제 건국의 실질적 설계자, 소서노다. 단순한 왕비가 아닌 정치적 리더로서의 그녀의 삶과 업적은 고대 한민족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1. 소서노, 고구려의 기초를 세우다
소서노는 졸본부여의 군장 연타발(일명 연타취발)의 둘째 딸로, 기원전 66년 지금의 중국 랴오닝성 번시시 지역에서 태어났다. 연타발은 아들이 없고 딸만 셋이었는데, 부여에서 망명한 주몽이 졸본으로 내려오자 그의 재능을 눈여겨본 연타발은 소서노를 주몽에게 시집보낸다.
이 결혼은 단순한 혼인이 아니었다. 소서노는 나이가 30이었던데다가, 이미 한 번 결혼했던 경험이 있었고, 전 남편 우태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온조와 비류를 두고 있었다. 그녀는 돌싱이었고, 주몽 역시 부여에 아내와 아들 유리를 두고 있던 상태였다. 하지만 이 결합은 서로의 정치적 필요에 의해 맺어진 전략적 동맹이었다.
주몽은 부여 대소왕자의 위협을 피해 도망친 상태였고, 졸본에서 새로운 기반을 마련해야 했다. 소서노와의 결혼은 주몽에게 정치적 보호막이 되었으며, 소서노 가문은 고구려 초기 정치·군사·경제 기반 마련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서는 소서노의 내조와 전략이 주몽의 왕업에 큰 기여를 했다고 전하고 있다.
2. 주몽 아들 유리의 등장, 소서노 고구려를 떠나다
고구려 건국 이후 10년, 주몽의 옛 부인이자 유리왕의 어머니인 예씨가 아들 유리와 함께 고구려에 입성한다.
주몽은 예씨를 황후로 삼고 자신의 아들 유리를 태자로 책봉하려 한다. 이에 소서노는 정치적 위협을 느끼고 깊은 배신감을 받는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를 세우는데 지대한 역할을 했던 소서노와 그녀가 이끄는 신하들도 주몽파에 대립하면서 고구려는 자칫하면 건국된지 얼마 안되어 나라가 두동강 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고구려 내부의 권력 균형이 깨질 수 있는 위기 속에서, 그녀는 결단을 내린다.
기원전 19년, 소서노는 두 아들 온조와 비류를 데리고 고구려를 떠난다. 이듬해 기원전 18년, 남쪽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정착지를 찾게 되는데, 이는 단순한 이주가 아니라 사실상 제2의 건국이었다.
3. 비류와 온조의 길, 그리고 백제의 탄생
소서노 일행은 남하하여 한강 유역으로 도착한다.
첫째 아들 비류는 바닷가인 미추홀(지금의 인천)을 선택했지만, 물이 짜고 농사지을 수 없는 땅이어서 건국에 실패하게 된다. 둘째 아들 온조는 보다 기름진 땅인 위례(지금의 서울)에 정착하여 새로운 나라를 세우니, 이것이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백제다.
비류는 실패를 인정하고 온조에게 귀순하지만 끝내 비통하게 사망하게 되고, 백제는 온조를 중심으로 성장하게 된다. 그럼에도 이 모든 여정과 기반 마련의 중심에는 소서노가 있었다. 그녀는 단순히 자녀를 데리고 떠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정치 세력을 조직하고 국가 기반을 설계하며 백제 건국의 어머니로 불리기에 충분한 역할을 하였다.
4. 소서노의 죽음과 위상
기원전 6년, 소서노는 61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그녀의 죽음은 단순한 가족사의 차원을 넘는 국가적 사건이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온조는 "동쪽엔 낙랑, 북쪽엔 말갈이 있어 위협이 많은데, 어머니께서 돌아가셨으니 도읍을 옮겨야겠다"며 즉시 수도를 옮겼다고 전한다. 이는 소서노가 단순한 왕의 어머니가 아니라, 정치와 국정 운영에 있어 상징적 중심이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5. 역사속 소서노에 대한 기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모두 소서노를 단순한 왕비 이상의 존재로 기술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그녀를 고구려와 백제 건국의 실무자, 전략가로 언급하고 있으며, 삼국유사에서는 국가 기틀을 다진 창조자로 묘사된다. 이는 여성들을 잘 기록하지 않는 옛 사관들조차 그녀의 위상을 인정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소서노는 고구려를 설계하고 백제를 잉태한 여성이다. 그녀는 단지 위대한 남성의 그늘에 있는 존재가 아니었고, 시대를 설계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었던 리더였다. 그녀의 삶은 오늘날에도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특히 여성 리더십, 전략적 결단력, 정치적 감각 면에서 현대의 우리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국사 > 삼국시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해를 세우는데 일생을 바친, 대조영 아버지 대중상(걸걸중상) 그는 누구인가? (3) | 2024.10.28 |
---|---|
베일에 감춰진, 장보고를 죽인 암살자 염장(염문) 그는 누구인가? (5) | 2024.10.15 |
고구려 수나라를 무너트리다! 진주 강씨 시조 강이식 장군! (3) | 2024.09.06 |
고구려 멸망을 이끈 배신자, 연개소문 아들 연남생 그는 누구인가? (5) | 2024.09.02 |
문장의 천재 신라삼최 중 한 명, 고려 최언위 그는 누구인가?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