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화뇌동 유래 사례 예문 뜻
천둥 번개 소리에 맞춰 함께 움직인다는 뜻으로 자신의 생각 없이 주위의 눈치만 보고 움직이는 행동하는 사람들 보고 부화뇌동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그 뜻은 무엇일까?
|부화뇌동의 유래
천둥 소리에 함께 한다는 뜻의 부화뇌동은(附 붙을 부, 和 화할 화, 雷 우레 뇌(뢰), 同 한가지 동)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사실 부화뇌동은 특별한 유래는 없다. 이 말이 쓰인 <예기>의 '곡례'에서 이런 말이 나옵니다. '다른사람의 말을 자기 말처럼 하지말며. 다른 사람의 의견에만 동조하지 말라. 옛 성현을 따라 살며 선왕의 가르침에 따라 말하라." 이 책에서는 아래사람이 지켜야 할 예절 중 부화뇌동이랑 그 뜻이 같은 구절을 넣었다.
이후 <논어>의 '자로' 편에서 직접적으로 부화뇌동이라는 단어를 언급합니다. 공자가 말하되
"군자는 남을 자기 자신처럼 생각하며 남과 조화를 이루지만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에 충실하므로
부화뇌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소인은 이익만을 좇으므로 이익을 같이하는 사람들끼리만 함께 하려고 하며 남과는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라고 말합니다. 즉 우레가 칠때 사방이 이에 맞춰 변화하는 것처럼 자신의 이익을 위해 주위만 신경 쓰고 눈치를 보며 이리저리 움직이는 사람을 부화뇌동한다라고 할 수 있다.
|부화뇌동의 예문
부화뇌동이라는 말이 쓰이는 곳은 아무래도 우리의 정치권이다. 자신의 뜻에 맞춰 당적을 이리저리 움직이는 철새 국회의원에게 쓸 수 있다.
ex) 선거의 공천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는 철새 같은 국회의원들이여 부화뇌동 하지 마십시오.
ex) 쟤는 정말 부화뇌동 하는 것 같아.. 무슨 자기에게 이익이 되는 애들만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며 사귀냐...
<중국 고대경전 예기>
|부화뇌동이 실려 있는 '예기'
중국 고대 유교 경전인 오경 중 하나로 예법에 대한 이야기들을 담은 책이다. 예기는 공자와 그 제자들이 쓴 책이지만 이후 진시황의 분서갱유 사건으로 인해 뿔뿔히 흩어졌다가 한나라를 거쳐 지금의 49편이 되었다. (원래는 그 내용이 더 많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법의 이론과 실제를 담았다는데서 그 가치가 있다.
'언어의 어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처구니가 없네 어이가 없네 유래 (2) | 2015.10.20 |
---|---|
식자우환 어원 유래 뜻 (0) | 2015.09.11 |
기원전 기원후 BC AD 의 뜻과 유래 (0) | 2015.06.30 |
결초보은 유래와 뜻 (1) | 2015.05.17 |
호로자식과 화냥년의 슬픈 뜻과 유래 (4) | 201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