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부단의 대명사 1212사태 당시 육군참모차장 윤성민 그의 인생은?
1212사태 당시 쿠데타를 이끈 신군부세력을 막을 기회는 충분했다. 역사에 만약이라는 말은 없다지만 만약에 당시 반란군을 적극적으로 막고자 노력을 해봤더라면 어땠을까? 우리는 군부독재라는 역사를 맞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리고 그 만약이라는 역사의 갈림길에서 결정적인 실수를 한 인물이 있었으니 바로 육군참모총장 윤성민이다. 그는 누구일까?
1. 육군참모차장 윤성민의 군생활
윤성민 육군참모총장은 1926년생으로 전라도 무안에서 태어났다. 육사 9기로 6.25전쟁이 일어났던 1950년 소위로 임관한다. 참고로 1212사태 당시 납치되었던 육군참모총장 정승화는 윤성보다 나이는 어렸지만 육사 5기생으로 군에서는 선배였다.
6.25이후 진급속도가 다른 사람들보다 빨랐던 사람들 중 한명으로 제1야전군, 제5보병사단장 이후 1977년 제3군단장자리까지 역임한다.
그러나 그가 제 3군단장이던 1979년 중앙정보부장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는 10.26사태가 벌어지며 본래 육군참모총장에 있던 이희성이 중앙정보부장의 대리직으로 맡게 되었고 비어있는 육군참모차장 자리에 윤성민이 들어오게된다.
그리고 그는 이제 육군참모차장자리에서 12.12사태를 맡게된다. 사실 그의 자리는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정승화의 책임하에 있었는데, 군부세력이 정승화를 납치하면서 육군본부의 2인자 자리이자 참모차장이었던 그의 역할이 중요해지게 된 것이다.
2. 12.12 사태의 혼란 속에서 윤성민의 행보
전두환 일당이 육군참모총장 정승화의 납치 연행하면서 12.12사태가 시작된다.
당시 정승화의 납치소식을 들은 윤성민은 참모총장의 부재하에 육군 지휘권을 갖게 되었다. 이때만해도 윤성민은 쿠데타 세력의 반란을 진압하고자 육군의 수뇌부들 소집하는 한편, 수도 경비를 강화하기 위하여 수도경비사령관 장태완, 특전사사령관 정병주 등과 함께 수도 서울의 방어를 모색한다. 또한 전방의 제3야전군, 제1야전군까지 연락하여 차근차근 쿠데타 세력을 막아낼 방법을 마련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때 뜻하지 않게 반란군을 진압하고자 하는 육군본부에서 두 가지 방법이 제시된다.
- 유화파 : 자칫하면 수도 서울에서 내전이 일어나는 불상사와 함께 이를 노려 북한군이 밀고 내려올 수 있으므로 전투를 피하면서 대화 등으로 해결하고자 함 (윤성민 참모차장 포함 육군본부 대다수)
- 강경파 : 압도적인 군사를 통해 쿠데타 세력을 막아야 하며 강경진압 해야 함 (헌병감 김진기, 수경사령관 장태완, 특전사령관 정병주)
맨처음은 강경파가 힘을 얻는 듯 했지만 육군본부의 지휘부는 최대한 내전을 막고자 유화책을 쓰기로 한다.
- 국방장관 노재현이 있었다면?
12.12.사태에서 잘못된 선택이었다고 평가 받는 유화파의 생각을 당시 육군본부 지휘부가 하게 된 것은 당시 국방장관 노재현의 부재가 컸다. 사실 강경진압에 있어서 내전을 피할 수 있는 것은 압도적인 군세를 통해 쿠데타 세력을 스스로 패배하게끔 만들어야 했다.
그런데 당시 국방장관 노재현이 도망가면서 그 어떤 지시도 내리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주한미군의 작전에 대한 통제를 받지 않는 부대는 수도권을 지키는 병력에 한정되게 된 것이다. 윤성민 참모차장으로서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압박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고, 자신이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속에서 다른 지역의 부대를 불러 모을 수 없는 한계에 임박한 것이다.
그러나 전두환의 쿠데타세력은 이미 전방을 지키는 노태우의 9사단까지 불러오면서 결단을 내렸으니 두 세력간의 군세는 점점 반란군 쪽으로 기울고 있었다.
3. 윤성민의 최대 실수 '9공수여단을 회군시키다'
반란군의 군세는 점차 강력해지고 있었다. 당시 장태완이 수경사령관이었음에도 그 밑에 휘하 대부분이 하나회였던지라 반란군에 대다수 참여한 상태였고 정병주가 사령관이었던 특전사 부대 역시도 4개중 3개가 반란군에 가담한 상황이었따. 여기에 수도권의 인근 사단들 또한 반란군에 협조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반란군에 가담하지 않은 26사단이나 수기사단은 보안사의 협박이나 회유를 통해 이미 작전을 수행할 의지조차 없던 상황이었다.
상황은 급박해진다. 전두환의 대표 충신 중 한명이었던 박희도가 이끄는 1공수여단이 서울로 진입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육군본부를 지키는 병력이 없던 상황이라 윤성민과 지휘부는 수도경비사령부로 잠시 대피한다.
그리고 이때, 이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던 윤흥기 여단장의 9공수를 빠르게 서울로 불러올 생각을 한다. 윤흥기의 9공수는 부평에 위치해 서울과 가깝고, 윤흥기는 갑종 출신(병사에서 장교로 임관한 사례) 인지라 하나회와는 전혀 연줄이 없었기 때문에 반란군에 현혹되지 않고 대응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 것이다.
전두환과 하나회 세력에게 이는 크나큰 위기로 찾아온다. 박희도의 1공수가 서울에 오는 것보다 9공수가 훨씬 빠르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두환은 머리를 써 윤성민 참모총장에게 병력을 통해 전투할 의사가 없으며 협정 등을 통해 평화롭게 이 사태를 해결할 것을 제안한다. 이른바 신사협정을 제시한 것이다.
그런데 윤성민 역시 유화적인 입장이라 이를 받아들였고, 9공수에게 다시 회군할 것을 명령한다. 그러나 이는 역시 전두환의 기만전술이었고 박희도의 1공수는 협정을 어기고 서울로 진격하여 육군본부는 물론 국방부를 점령하였고 잇따라 노태우의 9사단이 서울을 점령하면서 결국 쿠데타는 성공한다. 이후 윤성민 참모차장은 신군부 세력에 의해 장태완 수경사령관과 함께 서빙고실로 연행된다.
이 윤성민 참모차장의 회군 명령을 사람들은 지금도 전두환의 쿠데타를 막을 수 있었던 순간을 날려버린 안타까운 순간으로 지목한다.
4. 1212사태 이후 윤성민 참모차장은?
윤성민은 다른 진압군 세력이 바로 군복을 벗게 되고 신군부에게 탄압 받았던 것과는 달리 1212사태 이후에도 승승장구 한다. 이는 당시 전두환 군부세력이 나름 군대의 사기를 생각해 화합하는 연출을 생각한것과 호남출신인 윤성민을 통해 영호남의 비율을 맞추고자 하는 속셈 때문이었다.
윤성민은 이후에도 제1야전군사령관 이후 대장 진급 1981년 합동참모의장과 1982년에는 국방부 장관을 지내며 4년동안이나 군생활의 정점을 찍는다. 전두환 정권 7년 기간 4년을 국방부 장관을 윤성민 참모총장이 한 것이다. 은퇴 이후에는 한국석유개발공사 이사장, 대한방직협회장 등을 역임하기도 한다.
세월이 흘러 김영삼의 문민정부가 들어선 후, 1996년 1212사태의 공판중에 증인으로 법원에 출석하여 전두환의 쿠데타를 반란행위로 규정하는 증언을 하였다. 물론 이는 전두환 정권하에서 가장 오랫동안 국방부 장관을 했던 사라미, 모든 권력을 잃어버린 신군부 세력에 대한 평가를 한 것이기 때문에 아쉬움은 크다.
윤성민 참모차장은 2017년 숨을 거두었으며 그의 나이 91세였고 지금은 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지금까지 영화 서울의 봄에서 너무나 답답한 모습을 보였던 육군참모차장 역할의 실존인물 윤성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212사태라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가장 급작스러운 상황 속에서 자신이 모든 실권을 껴안게 되고, 군 동원의 한계도 있었던 상황이었지만 그래도 그래도 만약이라는 가정 앞에 윤성민의 행보는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국사 > 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만 대통령 경호처장 권력을 쥐다! 야인시대 곽영주 그는 누구인가? (0) | 2024.05.08 |
---|---|
1212사태 1공수여단장 도희철 그의 실제 모델 박희도는 누구인가? (1) | 2024.05.01 |
대한민국 정치깡패 연예계의 황제 야인시대 임화수 그는 누구인가? (0) | 2024.04.21 |
암살 염석진 실존 인물? 백의사 염동진은 과연 밀정인가? (0) | 2024.03.16 |
영화 암살 안옥윤 실존인물? 남자현 지사 독립운동가는 누구인가? (0) | 2024.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