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의 어원 81

아무것도 모르면서 탁상공론만 일삼다! 사자성어 백면서생 유래와 뜻

아무것도 모르면서 탁상공론만 일삼다! 사자성어 백면서생 유래와 뜻세상일을 하나도 경험하지 못했으면서 말로만 일을 하거나 말도 안되는 논리를 세우는 사람을 볼 때 우리는 백면서생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흰 얼굴의 곱디고운 서생처럼 현실에 대한 경험 없이 오직 말로만 하는 풋내기들에게 쓰이는 말 백면서생 그 유래에 대하여 알아보자 |백면서생의 유래와 뜻 백면서생은 흰 얼굴에 글만 읽은 사람이란 뜻으로 곱고 말끔해보이지만 세상에 대한 경험이 없는 사람을 말하며 白 흰 백, 面 낯 면/밀가루 면, 書 글 서, 生 날 생 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백면서생 그 유래는 어떻게 될까? 백면서생은 5세기 중국 남북조시대 남조였던 송나라 심경지라는 장군이 쓴 말이다. 이 시대는 중국에서 손꼽힐만큼 한심한 부정부패가 이미 극..

언어의 어원 2021.01.24

한 사람에게 벌을 내려 백명을 가르친다 일벌백계의 유래

한 사람에게 벌을 내려 백명을 가르친다 일벌백계의 유래 소수에게 벌을 내려 다른 사람에게 경각심을 준다는 말로 우리는 일벌 백계라는 말을 많이 쓴다. 특히 우리나라의 법이 약해 범죄자들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형을 받을 때 일벌백계라는 사자성어를 사용할 때가 많다. 일벌백계의 유래는 무엇이지 한 번 알아보자! |일벌백계의 유래와 뜻 일벌백계는 여러 사람 혹은 무리들의 기강을 잡기 위해 한 사람 혹은 소수를 본보기로 벌을 준다는 의미이다. 사용하는 것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흔히, 다른 유사 범죄를 막기 위해 범죄자들을 엄벌에 처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바로 일벌백계이다. 일벌백계는 一 한 일, 罰 벌할 벌, 百 일백 백, 戒 경계할 계 로 이루어진 말이다. 그렇다면 이제 일벌백계의 그 유래에 대하여 알아보자! 춘추..

언어의 어원 2021.01.19

여러사람이 떠들 듯 복잡하고 정리되지 않는다! 사자성어 중구난방 유래

여러사람이 떠들 듯 복잡하고 정리되지 않는다! 사자성어 중구난방 유래 무언가 복잡하고 정리되지 않으며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 것을 볼 때 우리는 중구난방이라는 말을 쓰곤 한다. 그런데 사실 이 중구난방은 그 유래와 뜻을 정확히 알면 우리가 사용할때 와는 약간은 다른 표현으로 쓰이는 것이 많다. 중구난방 그 유래와 뜻을 알아보고 사용법에 대하여 정확히 알아보자 |중구난방의 뜻과 유래 중구난방은 여러 사람이 말하는 각자 생각을 그대로 떠드는 말이라는 뜻으로, 그만큼 정리되지도 않고 막을 수도 없는 상황을 표현하는 단어이다. 衆 무리 중, 口 입 구, 難 어려울 난, 防 막을 방로 이루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주나라의 여왕이라는 왕이 있었다. 그는 자신의 국정에 대해 비판이라도 하면 무조건 잡아 죽..

언어의 어원 2021.01.13

삼국지 적벽대전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고육지계, 고육지책 그 유래와 뜻

삼국지 적벽대전에서 유래된 사자성어 고육지계, 고육지책 그 유래와 뜻 삼국지에서 가장 큰 전쟁을 뽑으라면 단연 적벽대전을 뽑을 수 있다. 삼국지의 영웅들이 천하를 놓고 붙었던 대규모 전쟁이자 유비 손권 연합군이 조조군을 화계로 박살낸 전쟁이다. 그런데, 바로 이 적벽대전에도 우리가 잘 알 고 있는 사자성어 고육지계가 등장한다. 무슨 뜻일까? |고육지책, 고육지계 유래와 뜻 삼십육계중 제 34계 책략이기도 한 고육지계는 자신의 몸을 상하게 하면서 만들어낸 책략이라는 뜻으로 고육지계라고 쓰기도 한다. 苦 쓸 고, 肉 고기 육, 之 갈 지, 策 꾀/채찍 책으로 만들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삼국지의 적벽대전이 일어나기 바로 직전의 일이다. 주유와 제갈량은 이미 화공으로 조조를 무찌를 계획을 세웠으나,..

언어의 어원 2021.01.03

인재가 세상을 향해 나가는 출발점! 출세의 관문 등용문 뜻과 유래

인재가 세상을 향해 나가는 출발점! 출세의 관문 등용문 뜻과 유래 흔히 인재들이 세상을 향해 나갈 수 있는 출구의 기능을 하는 단어로 등용문이라는 말을 많이 쓸 것이다. 인재를 등용해서 등용문인가? 라는 생각을 할 수 있지만 등용문 역시 과거의 유래에서 온 단어이다. 흔히 입신하고 출세하는 길을 열어주는 문이라 알려져 우리가 자주 쓰는 단어 등용문은 과연 어디서 유래되었을까? |등용문 유래와 뜻 입신하고 출세하는 관문으로 성공으로 가는 관문이라는 뜻의 등용문은 登 : 오를 등, 龍 : 용 용, 門 : 문 문 으로 이루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중국을 가로지르는 황하 상류에는 용문이라는 계곡이 있다. 이곳은 물살이 너무나 빨라 밑에는 물고기들이 모여들지만 위로 오르질 못하였으니 만약 오르는 물고기..

언어의 어원 2020.12.28

죽기전에 꼭 해야 할 일? 버킷리스트의 유래와 뜻 쓰여진 시기

죽기전에 꼭 해야 할 일? 버킷리스트 유래와 뜻 누구나 죽기전에 하고 싶은 혹은 해야 할 일에 대하여 꿈이 있기 마련이다. 이처럼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무언가는 꼭 해야겠다는 다짐 혹은 꿈을 버킷리스트라 표현한다. 그런데 이 버킷리스트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유래에서 나온 어원이라고 한다. 죽기전에 꼭 해야 할 일이라는 뜻의 버킷리스트는 과연 어디서 유래 되었을까? |버킷리스트의 유래 버킷리스트는 우리가 죽기 전에 한 번은 꼭 해봐야 할 꿈을 리스트(목록)로 만든 것이다. 그런데 바로 그 어원은 '죽다'라는 의미의 양동이를 차다 (Kick the Bucket)에서 유래된 것이다. 흔히 중세시대 사형장에서 사형수들이 뒤집어 놓은 양동이에 올라가 밧줄에 목을 메면 사형 집행자들이 사형수가 올라간 양동이를 발..

언어의 어원 2020.10.11

삼국지 감녕과 관련된 사자성어 태연자약과 비슷한 뜻의 담소자약 어원은?

삼국지 감녕과 관련된 사자성어 태연자약과 비슷한 뜻의 담소자약 어원은? 삼국지에서 유래된 수많은 사자성어들 중에서도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사자성어가 있다. 바로 오나라의 명장 감녕과 관련된 사자성어인데, 바로 조조의 대군이 몰려온다는 소식에도 눈 깜빡 안하고 담소를 나누며 즐겼다는 배포를 뜻하는 담소자약이 그것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태연자약과 유사한 뜻의 담소자약 과연 어떤 내용일까? |담소자약 유래와 뜻 위급한 상황속에서도 담대하게 태연히 여유를 즐기며 담소를 나눈다는 뜻을 가진 담소자약은 談 : 말씀 담, 笑 : 웃을 소 自 : 스스로 자, 若 : 같을 약 로 이루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담소자약은 삼국지 감녕전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삼국시대 오나라의 감녕은 장강 해적 출..

언어의 어원 2020.08.17

거짓으로 윗사람을 농락함 지록위마 뜻과 유래

거짓으로 윗사람을 농락함 지록위마 뜻과 유래 예나 지금이나 항상 권력자 옆에는 보좌하는 참모진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권력자가 능력이 없고 무식하면 그 참모진들이 권력자들의 권력을 사용하여 권력자의 눈을 가리고 위세를 부리는 모습을 우리는 역사속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표현하는데 가장 알맞는 표현이 바로 지록위마이다. | 지록위마 유래와 뜻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칭한다는 뜻으로 예전에는 윗사람을 농락하고 권세를 휘두른다는 뜻으로 많이 쓰였지만 지금은 누가봐도 참이 아닌것을 거짓이라 칭한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指 : 가리킬 지, 鹿 : 사슴 록, 爲 : 위할 위, 馬 : 말 마로 이루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진나라의 진시황제가 죽자, 간신이었던 환관 조고는 승상과 짜고 진..

언어의 어원 2020.06.07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사자성어 다다익선 유래와 뜻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사자성어 다다익선 유래와 뜻 많은 것이 적은 것보다 낫고, 많은 것이 더 많을 수록 좋은 것은 어찌보면 세상의 진리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 다다익선은 우리가 흔히 들어보거나 많이 사용하는 말인데, 다다익선 그 뜻과 유래는 무엇일까? |다다익선 유래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을 가진 다다익선은 多 : 많을 다, 多 : 많을 다, 益 : 더할 익, 善 : 좋을 선으로 이루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한나라 유방과 토사구팽의 대명사로 불리는 명장 한신이 항우의 죽음을 확인하고 천하를 통일한다. 이후 유방은 한신의 충성심과 능력을 의심하여 제왕의 직위를 박탈하고 회음후로 강등시킨다. 이에 한신은 유방에게 불만이 있던 상태였다. 그러던..

언어의 어원 2020.04.25

선거와 관련된 표현 그 유래는? 밴드왜건, 언더독, 브래들리, 왝더독 효과

선거와 관련된 표현 그 유래는? 밴드왜건, 언더독, 브래들리, 왝더독 효과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만큼 피튀기는 행사(?)는 찾기 힘들 것이다. 그만큼 선거에는 우리가 아는 상상 이상의 자본과 홍보, 기획, 커뮤니케이션 기법은 물론 선거 판세를 읽기 위한 유권자들의 심리분석까지 모두 총동원된다. 때문에 선거와 관련된 다양한 유권자들의 심리적 효과를 표현하는 단어도 많은데, 오늘은 이 선거와 관련된 표현들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보려 한다. |대세를 따른다! 밴드왜건 효과 밴드왜건 효과는 편승효과, 쏠림, 유행효과 등으로 불리는 마케팅 용어이다. 그 유래는 미국 서부개척시대 때 밴드왜건(마차)이 음악소리와 함께 금광 발견 소문을 내며 돌아다니면 밴드왜건을 따라 사람들이 이러저리 따라 움직이는 것에서 유래 되었다..

언어의 어원 2020.04.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