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의 어원 81

동쪽에서 소리내고 서쪽을 쳐라 병법 중 하나 성동격서 유래 뜻

동쪽에서 소리내고 서쪽을 쳐라 병법 중 하나 성동격서 유래 뜻 목숨과 나라의 운명이 걸린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옛부터 병법은 아주 중요한 가르침이자 교훈이었다. 때문에 이 병법에는 적의 심리를 간파하고 이용하여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다양한 사자성어들이 등장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성동격서이다. 성동격서 어떤 뜻과 유래를 가지고 있을까? |성동격서의 유래와 뜻 바로 성동격서이다. 성동격서 어떤 뜻과 유래를 가지고 있을까? 성동격서는 그냥 직역하자면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으로 진격한다는 뜻으로 병법 삼십육계중 6계에 해당하는 병법이다. 성동격서는 聲 소리 성, 東 동녘 동, 擊 칠 격, 西 서녘 서로 이루어진 말로 그 유래는 다음과 같다. 팽성전투에서 유방이 항우에게 참패를 하자 이를 관망..

언어의 어원 2020.04.06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도 모르고 사자성어 당랑거철 뜻과 유래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도 모르고 사자성어 당랑거철 뜻과 유래 흔히 자신의 능력이나 깜냥도 모르고 자신보다 월등한 상대에게 덤비는 것을 우리는 속담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줄도 모르고 덤빈다라는 말을 많이한다. 이와 비슷한 뜻으로 여기 사자성어 당랑거철이 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유래를 살펴보면 당랑거철은 그렇게 나쁘지 만은 않은 사자성어다. 사마귀가 등장하는 사자성어 당랑거철 어떤 뜻과 유래가 있을까? |당랑거철 어원과 유래 당랑거철은 자신의 분수는 모르고 함부로 행동한다는 뜻으로 앞뒤 재지 않고 함부로 행동하는 사람을 말한다. 당랑거철은 螳 사마귀 당, 螂 사마귀 랑, 拒 막을 거, 轍 바퀴자국 철로 이루어진 말로 그 어원과 유래는 다음과 같다. 당랑거철은 재미있게도 중국의 다양한 책들에서 나온다. 그 ..

언어의 어원 2020.03.22

까마귀는 효성이 지극한 새? 반포지효 어원과 유래 뜻

까마귀는 효성이 지극한 새? 반포지효 어원과 유래 뜻 예부터 효심은 인간이 갖춰야 할 가장 큰 덕목이라 하여 이와 관련된 속담과 사자성어들이 참으로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 중 반포지효는 까마귀를 주인공으로 만들어진 사자성어라고 하는데, 우리에게는 불길한 새로 잘 알려지기도 한 까마귀와 효성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반포지효 어원과 유래 반포지효는 부모에게 먹이를 주는 까마귀의 효심을 나타내는 뜻으로, 이는 까마귀와 비교하여 사람 역시 어버이의 은혜에 대한 자식의 효도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된다. 반포지효는 反 돌이킬 반, 哺 먹일 포, 之 어조사 지, 孝 효도 효로 이루어진 말로 그 어원과 유래는 다음과 같다. 진나라 무제는 이밀이라는 신하를 유독 아껴 높은 관직을 내렸지만 이밀은 이를 거절한다. 그러자..

언어의 어원 2020.02.17

한 우물만 파라! 우공이산 유래 어원

한 우물만 파라! 우공이산 유래 어원 한 우물만 파면 성공한다! 오랜시간을 어떠한 일에 바치면 마침내 이루어 낸다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 우공이산이라는 말이 있다. 우공이산 유래는 무엇일까? |우공이산 어원과 유래 우공이산은 겉으로 보기에는 '어리석은 노인이 산을 옮긴다'라는 뜻이지만 그 속뜻은 '무엇인가 열심히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낼 수 있다'는 뜻으로 주로 사용된다. 우공이산은 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할 공,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山 뫼 산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그 유래는 무엇일까? 옛날 중국 북산에 '어리석은 노인 = 우공'이 살고 있었다. 그의 집 앞에는 태항산과 왕옥산이라는 커다란 산이 있어서 다른 곳으로 가기가 너무 불편했다. 그런데 우공은 이미 나이 90세에 가까운 몸을 이끌고 이 ..

언어의 어원 2020.01.26

확성기를 뜻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 사이렌의 유래

확성기를 뜻하는 그리스 로마 신화 사이렌의 유래 긴급상황이나 주목을 요할 때 으레 쓰는 물건 싸이렌, 이 사이렌 역시 유래가 있는 것을 알고 있는가? 그리스 로마 신화의 괴물(?) 중 하나 였던 사이렌 과연 어떤 이야기가 숨어 있는지 또 어디에 사용되는지 살펴보자! |사이렌은 누구? 사이렌은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동물? 괴물로 아름다운 여성의 얼굴에 독수리의 몸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이렌으로 불리며 요즘에는 물고기의 몸을 가진 인어로도 표현되기도 한다. 사이렌은 기원전 700년 전에 쓰인 호메로스의 에도 등장하는 상상속의 동물로서 이탈리아 반도 서부 해안의 절벽과 바위에 둘러싸인 섬에 살고 있다고 전한다. 사이렌은 섬에 선박이 다가오면 아름다운 노랫소리로 선원들을 유혹하고 바닷물로 빠지게끔 속인다..

언어의 어원 2020.01.01

나 먹기는 싫고 남주기는 아깝고! 삼국지 계륵의 어원과 유래

나 먹기는 싫고 남주기는 아깝고! 삼국지 계륵의 어원과 유래 나는 하기 싫은데 남이 하면 뭔가 아쉬울 것 같은 기분 누구나 한번쯤은 느껴봤을 것이다. 뭔가 쓸모 없는 것 같으면서도 막상 버리려니 마음이 가는 그 기분을 뜻하는 용어 '계륵' 은 삼국지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한다. 계륵 과연 어떻게 유래된 말일까? |계륵의 어원과 유래 닭의 갈빗대라는 뜻의 계륵은 나는 먹기 싫은데 막상 버리자니 아까운 상황에 처했을 때를 나타낸 사자성어이다. 이제 鷄 닭 계, 肋 갈비 륵 으로 이루어진 계륵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서기 219년, 한중땅에서 조조와 유비가 한창 전쟁에 임하고 있었다. 제갈량의 책략을 앞세운 유비의 촉나라 군대가 무섭게 한중을 공격하자 조조의 위나라는 불리해진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에 조조..

언어의 어원 2019.12.19

삼국지 제갈량 마속의 목을 베다! 읍찹마속의 유래 뜻

삼국지 제갈량 마속의 목을 베다! 읍찹마속의 유래 뜻 중국을 대표하는 소설 삼국지! 극적이고 장대한 드라마만큼이나 이와 관련된 사자성어도 참 많다. 그 중에서도 우리에게 익숙한 읍찹마속은 많은 이들이 알고 있는 사자성어이기도 하다. 읍찹마속 그 유래와 뜻은 무엇일까? |읍찹마속 유래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베다라는 뜻의 읍참마속은 공정함과 법을 지키기 위해 자신이 아무리 아꼈던 부하장수 마속의 목을 울면서 벴던 제갈량의 심정을 표현한 사자성어이다. 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 로 이루어진 읍참마속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자! 촉나라 제갈량은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계획했던 위나라 정벌을 위해 북벌을 진행한다. 제갈량은 이번 북벌에서 위나라를 무찌르기 위해 촉나라군대의 보급을 지원..

언어의 어원 2019.12.07

뛰어난 인재는 숨어 있어도 보인다! 사자성어 낭중지추 유래와 뜻

인재는 숨어 있어도 보인다! 사자성어 낭중지추 유래와 뜻 뛰어난 사람은 숨으려 하더라도 어딜가나 눈에 띄기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주머니속에 뾰족히 튀어나온 송곳이라는 비유가 어찌 적절하지 않을 수 있으랴! 사자성어 낭중지추 그 뜻과 유래는 과연 무엇일까? |낭중지추의 유래 주머니 속의 송곳, 다시 말해 뾰족한 송곳은 주머니속에 있어도 뚫고 나오는 것처럼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은 숨어도 눈에 띄기 마련이라는 뜻을 가진 낭중지추는 (囊 : 주머니 낭, 中 : 가운데 중, 之 : 의 지, 錐 : 송곳 추)로 이루어진 사자성어다. 그 유래는 무엇일까? 전국시대 말기, 조나라가 진나라에게 침략을 당한다. 진나라의 무자비한 공격에 조나라는 무너지기 일보직전이었고 조나라는 초나라에 구원병을 청하려고 재상 평원군을..

언어의 어원 2019.11.28

한신의 병법! 배수진을 치다 , 사자성어 배수지진의 유래와 뜻

한신의 병법! 배수진을 치다 , 사자성어 배수지진의 유래와 뜻 사극을 보면 장수와 병사들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는 다짐을 하며, 배수진을 치겠다는 대사를 곧 잘한다. 말 그대로 물을 뒤에 두고 진을 쳐, 더이상 후퇴할 곳 없이 죽음을 각오하고 싸우겠다는 뜻인데, 그 배수진을 치다라는 뜻이 초한지의 한신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배수지진의 유래 본래 강을 등지고 펼친 진이라는 뜻이지만 보통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배수지진은 (背등 배, 水물 수, 之갈 지, 陣진칠 진)로 이루어진 말이다. 한나라 유방이 왕위에 오르기 2년전에, 명장 한신이 유방의 명에 따라 위나라를 부수고 조나라로 쳐들어갔다. 그러자 조나라에서는 20만 대군을 끌어모아 조나라로 들어오는 정형이라는 곳의 ..

언어의 어원 2019.11.09

작은 것을 탐하지말라! 고사성어 소탐대실 뜻과 동의어 유래

작은 것을 탐하지말라! 고사성어 소탐대실 뜻과 동의어 유래 작은 것을 탐하다가는 큰것을 잃고 만다! 우리가 잘 아는 말로 소탐대실이라고 한다. 이 소탐대실에도 역사적인 유래가 있다고 하는데 과연 어떤 유래가 있을까? 그리고 소탐대실과 비슷한 동의어는 어떤 것이 있을까? | 소탐대실의 유래 작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는다는 소탐대실은 (小 : 작을 소, 貪 : 탐할 탐, 大 : 큰 대, 失 : 잃을 실)로 이루어진 사자성어다. 춘추전국시대에 촉나라는 땅이 비옥하고 물자가 많기로 소문난 부국이었다. 일찍부터 촉나라에 눈독을 들이고 있던 진나라 혜왕은 촉나라를 정벌하겠다는 야심은 가득했지만 촉나라로 향하는 길은 대부분 좁은 벼랑이거나 산길이어서 진나라의 대군이 공격해 들어가기에는 거의 불가능 했다. 진나라 ..

언어의 어원 2019.10.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