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의 어원 81

진정한 우정 간담상조 유래 뜻 예문

진정한 우정 간담상조 유래 뜻 예문 우정을 뜻하는 사자성어 중 간담상조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자성어라고 생각한다. 마음으로 교류하는 우정을 뜻하는 간담상조. 그 간담상조의 뜻과 유래는 무엇일까? |간담상조 유래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일 정도로 비밀 없이 모든 것을 알고 지내는 친구 사이를 뜻하는 간담상조는(肝 간 간, 膽 쓸개 담, 相 서로 상, 照 비출 조)으로 이루어진 사자성어다. 당나라와 송나라의 대 문장가를 뜻하는 당송팔대가에 속해 있는 한유와 유종원은 당시 세상사람들이 인정하는 절친한 친구였다. 그러나 당나라 11대 황제인 헌종때 유종원이 유주자사로 좌천되게 되었는데 그때 유종원의 친구였던 유우석 역시 머나먼 파주자사로 좌천 되었다. 그런데 이때 유종원이 유우석이 자신처럼 좌천 되었다는 소리를 듣..

언어의 어원 2015.03.20

금의환향 뜻과 유래

금의환향 뜻과 유래 우리는 성공해 고향을 돌아오거나 아니면 스포츠 스타들이 해외에서 이름을 알리고 돌아오면 금의환향이란 말을 쓴다. 그런데 이 금의환향이 정반대의 단어 금의야행에서 나왔다는 것을 아는가? 그렇다면 금의환향의 뜻과 유래는 무엇일까? |금의환향 유래 비단옷을 입고 고향에 돌아가 환대를 받다라는 뜻의 금의환향은 (錦 비단 금衣 옷 의夜 밤 야, 고을 이름 액行 다닐 행)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항우는 무너지는 진나라에 마지막 쐐기를 꽂으며 진나라 수도 '관중'을 무너트리고 진시황이 세웠던 아방궁을 불태운다. (아방궁을 태운 불이 3개월 동안 꺼지지 않았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이에 항우는 천하가 자신의 것이라 생각하고 고향인 팽성으로 돌아가 환호를 받기로 하여 들떠 있었는데 이때 항우의 참모였던..

언어의 어원 2015.03.11

함흥차사 유래 뜻 예문

함흥차사 유래 뜻 예문 우리는 어디를 떠나거나 심부름을 시켰는데 아무 소식 없이 오랫동안 돌아오지 않을 때 함흥차사처럼~ 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함흥차사 그 유래와 뜻은 무엇일까? 함흥(북한에 있는 도시 지명) 차사 |함흥차사 유래 2013/12/24 - [국사/조선] - 조선의 기틀을 닦은 태종 이방원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고 얼마 안 있어 자신의 정실부인에게서 난 아들이 아닌 정도전이 밀고 있는 부인 강씨에게서 난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했다. 이에 이성계의 5번째 아들이자 왕위에 대한 야망이 컸던 이방원은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과 동생 이방석을 살해하고 실권을 장악한다. 그러자 이성계는 분노하며 왕위를 내놓고 고향으로 떠나는 선택을 하게 되고 이방원은 자신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으나 명분..

언어의 어원 2015.03.03

각주구검 유래 뜻 예문

각주구검 유래 뜻 예문 이미 과거는 지나가고 세상이 변했는데 아직도 과거의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과거의 시각으로 현재를 바라보는 것을 우리는 각주구검이라 한다. 각주구검 그 유래와 뜻은 무엇일까? |각주구검 유래 칼을 구하기 위하여 배 밑에 그림을 그린다는 뜻의 각주구검은 (刻 새길 각, 舟 배 주, 求 구할 구, 劍 칼 검)로 쓰이는 사자성어다.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한 젊은 무사가 양자강을 건너려고 나룻배를 탔다. 그런데 배를 타고 강의 중반쯤 갔을까? 무사는 실수로 그만 자신이 가장 아끼는 보검을 강물에 빠트리고 말았다. 그런데 강물에 가라앉는 보검을 보며 당황하는 것 같던 무사는 이내 태연함을 되찾고 단검을 뽑아 자기가 앉은 뱃전에 표시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이를 본 뱃사공은 의아하게 생각하..

언어의 어원 2015.02.23

화룡점정 뜻과 유래

화룡점정 뜻과 유래 이미 그냥 두어도 완벽한 것 같지만 무언가 하나만 더한다면 더 이상 건드릴 것이 없는 최고의 걸작이나 가치가 된다는 뜻으로 '화룡점정'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화룡점점 그 뜻과 유래는 무엇일까? |화룡점정 유래 용을 그리며 눈동자도 그린다는 뜻의 화룡점정은, (畵 그림 화, 龍 용 룡, 點 점찍을 점, 睛 눈동자 정) 의 글자들로 구성 되어 있다. 중국 남북조 시대에 장승요라는 인물이 있었는데 관직생활뿐 아니라 그림 실력이 뛰어나 시대의 명화가로서 이름을 날린다. 그러던 어느날 안락사라는 절의 주지스님으로부터 용을 주제로한 벽화를 그려 달라는 부탁을 받게 되고 그림을 그리게 된다. 곧이어 장승요는 용 벽화를 완성 시키고 그 작품을 드디어 공개 했는데 그림이 공개 되자마자 이를 본 사람..

언어의 어원 2015.02.16

파죽지세 뜻과 유래

파죽지세 뜻과 유래 나라나 집단 혹은 스포츠에서 어떤 한 팀이 가진 힘이 너무나 막강하여 아무도 막을 자 없이 승리에 승리를 거듭할 때 혹은 아무것도 두려워 하지 않고 쳐들어갈 때 우리는 '파죽지세'라는 말을 사용한다. 파죽지세 그 유래와 뜻은 무엇일까?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사자성어 |파죽지세 유래 대나무를 쪼개듯 강한 기세를 뜻 하는 파죽지세는 (破 깨뜨릴 파,竹 대 죽,之 갈 지,勢 형세 세)로 구성 되어 있는 말이다. 우리가 잘 아는 중국 위,촉,오 삼국시대를 풍미했던 불세출의 영웅들 (유비 조조 손권) 은 이미 세상을 떠나고 가장 강성했던 위나라는 조씨 일가를 무너트리고 사마의의 아들들인 사마사, 사마소 등이 실권을 잡고 모든 권력을 차지하였다. 또한 이윽고 사마집안이 이끄는 위나라가 유비 아..

언어의 어원 2015.02.08

'사면초가'의 뜻과 유래

'사면초가'의 뜻과 유래 어디를 둘러봐도 답이 없을 때, 도무지 해결책을 찾을 수 없을때 우리는 사면초가에 빠졌다라는 말을 많이쓴다. '사면초가' 무슨 초가집을 생각 할 수도 있지만 이 사자성어에는 역사적 사건이 함께 한다. 사면초가 뜻은 알고 있으나유래를 모르는 사람은 꽤 많을 것 같다. |사면초가 유래 네 방향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래라는 뜻을 가진 사면초가는 사방이 막혀 그 어떤 해결책도 보이지 않을 때 쓰는 말로 (四 넉 사面 낯 면/밀가루 면楚 초나라 초/회초리 초 歌 노래 가)라는 뜻이다. 진나라가 멸망하고 초나라와 한나라가 중국대륙을 놓고 패권을 다투던 '초한지' 시절 기세를 잡은 한나라의 왕 유방은 항우와의 마지막 전면전을 준비하며 도망치는 초나라의 왕 항우를 추격한다. 이에 항우는 포위..

언어의 어원 2015.01.28

'백미'의 유래

'백미'의 유래 뛰어난 것들 중에서도 유독 뛰어난 사람이나 상황 등을 가리켜 우리는 '~백미는 바로 그거지' 라고 말하곤 한다. 백미.. 많이 듣기도 햇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유래가 삼국지에서 나왔다는 것을 혹시 아는가? 게임 삼국지에 등장하는 마량..그의 눈썹이 흰것을 볼 수 있다! |백미의 유래 흰 눈썹이라는 뜻을 가진 (白 : 흰 백 眉 : 눈썹 미 ) '백미'는 무리 가운데에서도 가장 뛰어난 것을 나타내는 말로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유비와 손권의 연합군이 적벽에서 조조의 군대를 격파한 직후 유비는 제갈량의 삼분지계에 따라형주 땅을 얻고 촉을 통해 그 대업을 완수하려 하였다. 때문에 유비는 자신의 밑에 능력 있는 신하들이 많이 필요 했는데 이때 이적이 이를 알고 유비를 향해 '새로운 땅을 얻..

언어의 어원 2015.01.13

괄목상대 유래

괄목상대 유래 어떤 사람이 과거에 비해서 현재에 눈부신 발전과 성장을 했다면 우리는 놀라며 그 사람의 능력이 '괄목상대' 했다고 말하곤 한다. 그런데 이 '괄목상대' 라는 사자성어가 삼국지에서 유래 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삼국지 여몽에서 유래된 괄목상대이미지: 진삼국무쌍 여몽 캐릭터 |괄목상대의 유래 깜짝 놀라 눈을 비비고 다시 본다는 뜻으로 (目 : 눈 목 相 : 서로 상 對 : 대할 대) 괄목상대는 남의 학식 혹은 재주가 엄청나게 늘었다는 것을 이르는 말로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용어다. 오나라 군주 손권이 자신이 아끼는 장수 여몽과 장흠 둘에게 말한다. "공들은 이제 임무를 맡아 새 주둔지로 떠나니, 스스로를 갈고 닦아 견식을 넓혀야 할 것이네." 하지만 여몽은 무예는 뛰어 났으나 평소 견식이 ..

언어의 어원 2015.01.06

'사족'의 유래

'사족'의 유래 가끔 어떤 사람들이 하고 있는 이야기나 행동을 듣거나 보다보면, 그냥 딱 거기까지만 해도 좋았는데 괜히 더 잘 하겠다고 무언가를 하다가 일을 망치거나 옥의 티를 남기는 경우가 있다. 이를 우리는 '사족'이라고 하는데 어디서부터 전해져 왔을까? 뱀의 다리를 뜻하는 고사성어 |사족의 유래 사족은 원래는 고사성어 화사첨족(畵蛇添足)에서 나온 줄임말로 뱀(蛇)의 다리(足) 라는 뜻을 가진 언어다.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고사성어가 나온 의 이야기에서 유래 된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에 초나라에서 제사를 담당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 사람이 제사가 끝나고 하인들에게 술을 전해주었다. 하인들은 평소 흔히 마시지 못하는 술을 얻게 되자 서로 먹으려고 안달이 났는데 술의 양이 많지 않았다. 그러자 하..

언어의 어원 2014.12.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