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사/고려 61

후삼국의 전세를 바꾼 고창전투와 안동 권씨의 시조 권행은 누구?

후삼국의 전세를 바꾼 고창전투와 안동 권씨의 시조 권행은 누구? 천년 사직 신라가 멸망의 길을 걸으면서 시작된 후삼국은 고려의 왕건, 후백제의 견훤의 치열한 세력다툼으로 인해 끝없는 전쟁의 연속이었다. 그중에서도 후백제의 견훤이 몰락하게 된 계기를 마련한 고창전투(지금의 안동)는 그 전까지 잇따라 패배하며 눈물을 삼키던 고려의 왕건에게는 한줄기 빛과 같은 승리였다. 그리고 이러한 고창전투의 의미 덕분에 지금의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안동이라는 지명이 생겨났고 안동 김씨, 안동 권씨, 안동 장씨가 생겨나게 된다. 과연 고창전투는 어떤 전투였으며 이로 인해 어떻게 안동에 본을 둔 시조가 생겨나게 된 것일까? |고창전투는 어떤 전투였나? - 배경 고창전투가 있기 3년 전인 927년, 왕건은 공산 전투에서 신숭겸..

국사/고려 2022.09.12

홍인방은 실존인물? 고려말 간신 홍인방의 모티브 염흥방은 누구인가?

홍인방은 실존인물? 고려말 간신 홍인방의 모티브 염흥방은 누구인가? 드라마 육룡이나르샤에서 삼한제일검 길태미의 사돈으로 고려말의 간신 중 한명으로 등장하는 홍인방은 실존인물인 염흥방에서 나온 인물이다. 몰락해 가는 고려 조정속에서 간신 중 한명으로 기록되고 있는 염흥방은 과연 누구이며 실제 역사속에서는 어떻게 기록하고 있을까? |염흥방 고려왕조를 위해 일하다 정확히 염흥방이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염흥방은 파주 염씨의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곡성부원군 염제신의 아들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공민왕의 제5비였던 신비 염씨가 누나였기 때문에 나름 집안이 빵빵했다 할 수 있겠다. 그가 처음 고려사에 등장한 것은 1357년 4월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면서부터이다. 염흥방은 과거 장원급제 이후 나름 고려 왕조를 ..

국사/고려 2022.08.30

육룡이나르샤 길태미는 실존인물? 고려 말 간신 무장 임견미

육룡이나르샤 길태미는 실존인물? 고려 말 간신 무장 임견미 한 나라가 망할 때는 반드시 간신들이 들끓게 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여말선초도 그랬다. 500년의 역사를 간직한 고려 역시 패망의 길에는 간신들이 득세했다. 여말선초를 배경으로 한 에서 길태미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고려말 삼한제일검이라며 엄청난 무공을 자랑했던 인물... 드라마속 길태미는 사실 고려말 임견미라는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삼아 만들어졌다고 한다. 임견미는 누구일까? |임견미의 출생과 벼슬 초기활동 임견미가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공민왕 때부터 우리 역사에 모습을 드러낸다. 임견미는 지금의 평택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평성부원군 임언수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임언수가 '군'이라는 호칭을 받은 건 임견미가 추후 문하시중의 자리에 ..

국사/고려 2022.08.20

고려 개국 공신으로 남양홍씨의 중시조 홍유 장군 그는 누구인가

고려 개국 공신으로 남양홍씨의 중시조 홍유 장군 그는 누구인가 천년 제국 신라의 부패와 몰락은 후삼국이라는 새로운 시작을 만들어냈다. 수많은 영웅호걸이 들고 일어났지만 결국 삼국을 통일한건 고려의 왕건이었다. 그러나 왕건 역시 이 삼한을 통일하기 위해서는 신하들과 당시 지방 호족들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그중에서도 왕건을 보좌한 대표적인 고려 개국공신 중 한명인 장군 홍유 역시 우리가 알아야할 인물이다. 그는 과연 누구일까? |홍유 -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왕으로 세우다 홍유(~936)가 언제 태어났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홍유는 지금의 경상도 의성 사람으로 고려사에는 홍술로 기록되어 있다. 홍유는 신라의 장수로 추측되는데 당시 신라 진성여왕의 부패한 정치와 권신들의 국정농단으로 이미 신라는 몰락의..

국사/고려 2022.08.06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 그는 과연 누구인가?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 그는 과연 누구인가? 고려 100년의 무신정권 시대를 연 무신의난 또는 정중부의 난 사건은 무신에 대한 차별과 억압으로 인해 발생한 군사 쿠데타였다. 문신들은 무신들을 무시하고 차별했는데 많은 차별 사건 중에서도 대표적인 차별 사건이 있으니 바로 문신 김돈중이 무신 정중부의 수염을 태운 사건이다. 김돈중 그는 과연 누구일까? |김돈중 그의 출생과 정중부 수염 사건 김돈중은 언제 태어났는지는 기록이 되어 있지 않지만 그의 아버지는 당대 최고의 학자이자 삼국사기를 지은 김부식이다. 따라서 그 집안은 고려가 알아주는 명문가였다. 김돈중은 1144년 (인종 22) 문과에 급제 하여 내시직에 임명되었다. 이때 김돈중이 받은 점수는 2등이었는데 왕이 김부식을 고려하여 1등..

국사/고려 2022.06.01

고려 무신정권을 열다! 무신의 난 정중부 그는 과연 누구인가?

고려 무신의 난을 열다 정중부 그는 과연 누구인가? 우리 나라 역사상 무신이 가장 오랫동안 권력을 잡았던 시기, 바로 고려 무신정권 시대이다. 그리고 바로 이 무신정권을 일으킨 장본인이 바로 정중부였다. 무신에 대한 부당함에 분노를 참지 못하고 일으켰던 쿠데타, 하지만 그 역시 권력의 맛에 사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된다. 정중부 그는 과연 누구였을까? 출생부터 그의 최후까지 알아보자 |정중부의 출생과 군인이 되기까지 정중부는 황해도 해주 사람으로 1106년 태어났다. 그의 키는 7척 (약 1m 72cm, 당시에는 큰키를 자랑한다)을 자랑하는 거구였다고 전해지는데, 특히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얼굴은 당시 최고의 미남으로 용모가 뛰어나고 특히나 수염이 아름다웠다고 전해진다. 정중부가 청년이 되어 병역..

국사/고려 2022.05.28

정도전, 정몽주의 스승 조선 사대부의 뿌리 이색 그는 누구인가?

정도전, 정몽주의 스승 조선 사대부의 뿌리 이색 그는 누구인가? 고려가 무너지기 시작하는 소리가 들리면서 등장한 인물들이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신진사대부 세력인 정도전, 정몽주와 같은 인물들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여기 이들의 스승으로써 당시 고려의 유생들을 이끌며 조선 성리학의 뿌리와 같은 인물들을 키워낸 스승이 있다. 바로 목은 이색이다. 무너져가는 망국 고려를 부여잡고 싶었지만 그렇지 못했던 고려말 대학자 이색 그는 과연 누구였을까? |이색의 출생과 성장 1328년 태어난 이색의 본관은 한산(충남 서천)이며 그 아버지는 이곡은 고려를 넘어 원나라 과거에도 급제하며 조정에서도 이름을 떨친 인물이었다. 이색이 어렸을 때 그 아버지 이곡은 원나라 조정에서 활동중이었기 때문에 어머니의 훈육 아래 자란다..

국사/고려 2021.12.06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불후했던 왕비, 고려의 문을 닫다 정비 안씨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불후했던 왕비, 고려의 문을 닫다 정비 안씨 고려의 멸망과 함께 고려의 왕족들과 충신들은 비극적으로 쓰러져가야만 했다. 여기, 공민왕때 왕비로 들어와 수많은 모욕과 위기를 거쳐 끝내 고려 사직의 문을 닫아야 했던 여인이 있다. 바로 정비 안씨이다. 그녀는 과연 누구였을까? |공민왕의 왕비가 되다 정비안씨는 문정공 안극인의 딸로 태어나 1366년, 공민왕의 왕비로 간택되었다. 이때 공민왕은 개혁의 군주에서 노국공주를 잃고 정신이 이상한 방탕한 왕으로 변모해 가고 있었다. 다시 말해 정신이 정상이 아닌 상황이었다. 이때, 정비안씨의 아버지 안극인이 '노국대장공주 영전 공사'가 너무 백성들의 고혈을 착취한다며 공사를 중지하자고 건의했지만 공민왕은 이를 불같이 화내며 안극인을 삭탈관직하고 ..

국사/고려 2021.11.17

과연 그는 신돈의 자식이었을까? 고려 우왕 그는 누구인가?

과연 그는 신돈의 자식이었을까? 고려 우왕 그는 누구인가? 여말선초 무너져가는 고려의 왕들은 왕권도 약했고 그 최후가 비참했다. 그런데 고려 제32대 왕 우왕은 심지어 자신의 아버지마저 누구인지 모른채, 왕위에서 쫒겨났고 위화도회군으로 돌아온 이성계에게 비참한 최후를 맞이해야 했다. 고려 우왕 도대체 어떤 인물이길래 비참한 최후를 맞이해야만 했을까? 우왕 그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왕의 출생 우왕은 한 평생을 그 혈통에 관하여 시비가 있었고, 또 왕위에서 쫒겨날 때도 혈통에 관한 시비였기 때문에 그의 아버지 공민왕과 그 출생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반원정책을 펼치며 고려 후기 강력한 개혁정책을 실시했던 공민왕은 자신이 그토록 사랑했던 노국공주가 죽으면서 무너지기 시작한다. 이후 자신의 ..

국사/고려 2021.10.24

시무는 무슨 뜻? 고려 성종 최승로의 고려를 향한 충정 시무28조

시무는 무슨 뜻? 고려 성종 최승로의 고려를 향한 충정 시무28조 충정으로 반드시 지켜주었으면 하는 항목을 제안하는 말로 시무라는 말을 많이 쓴다. 대표적으로 가수 비에게 팬들이 시무라는 말을 붙여 반드시 하지말아야 할 행동이라고 말하는 것이 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행 아닌 유행이 되어버린 어쩌면 어려운 뜻이라 생각될 수도 있는 '시무' 고려시대의 유학자 최승로가 고려 성종에게 건의한 시무28조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시무 28조는 어떤 내용일까? |최승로는 누구일까? 최승로는 927년 경주출생으로 그의 아버지 최은함은 신라의 6두품 출신이다. 935년 신라가 고려에 항복한 이후, 고려 조정에서 일하게 된다. 최승로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이 뛰어났다. 12세때 태..

국사/고려 2020.08.01
728x90
반응형